모든 카메라와 모바일용 카메라(아이폰, 안드로이드 등)는 여러분이 찍은 사진을 DCIM 폴더에 저장합니다.
DCIM은 “Digital Camera Images”를 뜻합니다.
이는 디지털카메라의 파일 시스템과 디렉터리 구조, 파일 명명 방법, 문자 세트, 파일 규격, 메타정보 규격 등을 정의한 DCF 규격의 매우 중요한 표준사항입니다.
DCF는
DCF는 JEITA(Japan Electronics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ies Association : 일본 사단법인 전자정보기술산업협회)에서 만든 기술 표준으로 첫 번째 버전은 2003년에 만들어졌고 이후 2010년에 업데이트되었습니다.
DCIM 디렉터리 및 하위 폴더
DCF 규격의 의무사항으로 반드시 "디지털카메라 이미지"는 DCIM 폴더에 저장해야 합니다.
DCIM 폴더는 여러 하위 디렉터리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만들지 않습니다)
하위 디렉터리의 경우 숫자 3자리(100~999)와 영문 5자리(의미는 중요하지 않음)로 구성하여 각각의 디지털카메라 제조사에서 자유롭게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애플의 경우 DCIM 디렉터리 하위에 100APPLE와 101APPLE 폴더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DCIM 폴더 내부에는 촬영한 사진이미지가 들어갑니다.
각각의 이미지 파일 이름은 4자리의 숫자 코드를 가지게 됩니다.
이 숫자 또한 카메라 제조사에서 원하는 대로 배치할 수 있으나 보통의 경우 찍은 순서대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JPG 이미지 외의 파일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THM 파일을 볼 수 있는데 보통의 경우 동영상 파일과 함께 생성됩니다.
THM 파일에는 동영상의 섬네일과 기타 메타 데이터 등 많은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만 중요하지는 않습니다.
모든 사람이 이 표준에 따라야 하나?
DCF는 대부분의 디지털카메라와 스마트폰 업체에서 채택함으로써 사실상 전 세계의 표준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DICM 형식이 표준화되었다는 것은 디지털카메라의 사진 전송 소프트웨어가 자동으로 디지털카메라 또는 SD 카드 등에서 사진을 식별할 수 있음을 뜻하기도 합니다.
여러분의 스마트폰과 디지털카메라가 DCF 표준을 따르고 DCIM 폴더를 사용하는 목적은 컴퓨터에서 카메라를 연결하거나 스마트폰을 연결하고 SD카드 등을 연결할 때 컴퓨터 또는 사진 라이브러리 소프트웨어가 DCIM 폴더를 찾고 사진을 찾아 보여주는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해서입니다.
만일 DCIM 형식을 따르지 않는 제품이 있다면 컴퓨터나 사진 라이브러리 소프트웨어는 이를 자동으로 찾을 수 없을 것이고 단지 전용 소프트웨어만이 자동으로 사진을 찾을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표준을 정하고 따르는 것은 매우 중요한 행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