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를 사용 후 매번 종료 전 특정 폴더를 비우고 종료하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저는 평소 캡처 파일을 저장 사용 후에 프로그램 종료 전에 비우곤 하였는데 이 일을 자동으로 하기 위하여 설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메모장을 열고 스크립트(Batch)를 작성합니다.
저의 캡처이미지 저장 폴더는 "D:\02. USER FILES\Pictures\Captures"입니다.
@ECHO OFF
RD /S /Q "D:\02. USER FILES\Pictures\Captures"
MD "D:\02. USER FILES\Pictures\Captures"
위 내용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드리자면 RD는 디렉토리 삭제 명령어 입니다.
/S옵션은 하위 폴더를 포함한다는 것이고 /Q는 묻지 말고 조용히 처리 하라는 겁니다.
MD는 폴더 생성 명령입니다.
따라서 위의 스크립트 내용은 "D:\02. USER FILES\Pictures\Captures"폴더를 그냥 지워 버린 후에 다시 생성하는 스크립트 입니다.
스크립트를 완성 하였으면 저장 합니다.
주의 하실 점은 파일 형식을 "모든 파일"로 지정 하여야 설정한 확장자가 적용이 됩니다.
또 인코딩을 "ANSI" 로 지정하여야 한글이 석이 더라도 제대로 작동 합니다.
바탕화면에 아래 처럼 CMD 파일을 만들었습니다.
이제 그룹 정책 편집기를 열기 위하여 "Win키 + R"을 눌러 실행 창을 열고 "gpedit.msc"를 쓰고 확인 합니다.
열린 그룹 정책 편집기에서 "컴퓨터 구성 → Windows 설정 → 스크립트 (시작/종료)"로 이동 후 우측 창에서 "시스템 종료"를 더블 클릭하여 속성 창을 열어 줍니다.
열린 속성 창에서 하단의 "파일 표시"를 클릭 합니다.
시스템 종료 스크립트 저장 위치로 폴더가 열리는데 이곳으로 처음 만들어 놓은 스크립트를 이동 후 닫아 줍니다.
다시 시스템 종료 속성 창으로 돌아와 "추가"를 클릭 합니다.
스크립트 추가 창에서 "찾아 보기"로 해당 스크립트를 선택 후 확인 합니다.
스크립트가 포함되었으면 확인을 눌러 속성창을 종료 합니다.
종료전 아래 그림처럼 캡처한 그림들이 있습니다.
이제 컴퓨터를 재 부팅 후 캡처 폴더를 확인 하면 아래 그림처럼 비워 져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주의
주의 하실 점은 저처럼 폴더를 확인 없이 지워도 되는 곳인지 꼼꼼히 따져 보시고 작성하셔야 합니다.
이 방법은 스크립트를 구성 할 수 있는 다른 많은 기능등도 가능 하니 한번씩들 시도 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