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경우 "안전 모드"를 이용해야 합니다.
윈도8 이후 안전모드에 접근하는 경로가 다소 복잡해졌는데 고급 부팅 옵션 메뉴에 이 안전모드 부팅 메뉴를 추가한다면 좀 더 빠르게 접근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여기에서는 안전모드를 윈도 8/10의 고급 부팅 옵션 메뉴에 안전모드 부팅 옵션을 추가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단계 : 관리자 권한의 "명령 프롬프트" 작업
Win + X를 클릭하여 "명령 프롬프트(관리자)"를 클릭 실행합니다.
열린 명령 프롬프트에서 다음의 명령을 입력하고 Enter를 눌러 줍니다.
bcdedit /copy {current} /d "Windows 10 안전 모드"
원하는 경우 네트워크킹 안전 모드를 추가합니다.
bcdedit /copy {current} /d "Windows 10 안전 모드 (네트워크)"
GUI 상태의 안전모드가 아닌 명령 프롬프트 안전 모드를 원한다면 항목에 추가합니다.
bcdedit /copy {current} /d "Windows 10 안전 모드 (명령 프롬프트)"
2단계 : 시스템 구성 도구를 이용하여 새 부트 옵션 구성
위에서의 작업은 여러분의 고급 부팅 옵션 메뉴에 메뉴 항목만을 추가한 것입니다.
아직 그 항목들에 대한 작동 방식을 구성하지 않았습니다.
Win + R 키를 눌러 실행 창을 열고 "msconfig" 를 입력 실행합니다.
시스템 구성 창에서 부팅 탭으로 이동합니다.
부팅 옵션들 중 "Windows 10 안전모드"를 클릭 후 "안전 부팅"에 체크하고 "최소 설치"를 선택 후 "모든 부팅 설정을 영구히 유지"에 체크 하고 적용합니다.
경고 창이 나오면 "예"를 클릭합니다.
부팅 옵션들 중 "Windows 10 안전 모드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안전 부팅"에 체크하고 "네트워크"를 선택 후 "모든 부팅 설정을 영구히 유지"에 체크 하고 적용합니다.
부팅 옵션들 중 "Windows 10 안전 모드 (명령 프롬프트)"를 선택하고 "안전 부팅"에 체크하고 "대체 셸"를 선택 후 "모든 부팅 설정을 영구히 유지"에 체크 하고 적용합니다.
이제 모든 구성을 마쳤습니다.
윈도를 재시작하여 여러분의 고급 부팅 옵션 메뉴를 확인 후 작동 여부를 체크 합니다.
고급 부팅 옵션 메뉴에서 "안전 모드" 옵션을 제거하는 방법
제거는 간단합니다.
msconfig (시스템 구성)을 열고 삭제할 부팅 옵션을 선택 후 삭제를 클릭 삭제합니다.
삭제 시는 반드시 주의해서 재차 확인 후 삭제하셔야 합니다.
감사합니다.